top of page
New Posts/최근글
Archive/자료
Recent Posts/지난글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RSS Feed

2017년 10월 31일


10월31일(녹)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Tuesday of the Thirtieth Week in Ordinary Time

+ 로마서 8, 18-25

<피조물은 하느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

해설) 하느님의 모든 피조물들은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초에 하느님의 뜻을 거역한 인간은 원죄와 본죄로 인해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갖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인간은 원죄와 본죄로 인해 하느님을 올바로 섬기지 못하고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형제 여러분, 18 장차 우리에게 계시될 영광에 견주면, 지금 이 시대에 우리가 겪는 고난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9 사실 피조물은 하느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20 피조물이 허무의 지배 아래 든 것은 자의가 아니라 그렇게 하신 분의 뜻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희망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21 피조물도 멸망의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의 자유를 얻을 것입니다. 22 우리는 모든 피조물이 지금까지 다 함께 탄식하며 진통을 겪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23 그러나 피조물만이 아니라 성령을 첫 선물로 받은 우리 자신도 하느님의 자녀가 되기를, 우리의 몸이 속량되기를 기다리며 속으로 탄식하고 있습니다. 24 사실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보이는 것을 희망하는 것은 희망이 아닙니다. 보이는 것을 누가 희망합니까? 25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을 희망하기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립니다.


+ First Reading, Romans 8:18-25

Brothers and sisters: 18 I consider that the sufferings of this present time are as nothing compared with the glory to be revealed for us. 19 For creation awaits with eager expectation the revelation of the children of God; 20 for creation was made subject to futility, not of its own accord but because of the one who subjected it, in hope 21 that creation itself would be set free from slavery to corruption and share in the glorious freedom of the children of God. 22 We know that all creation is groaning in labor pains even until now; 23 and not only that, but we ourselves, who have the first fruits of the Spirit, we also groan within ourselves as we wait for adoption,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24 For in hope we were saved. Now hope that sees for itself is not hope. For who hopes for what one sees? 25 But if we hope for what we do not see, we wait with endurance.



묵상) 이제 주님의 모든 피조물에게도 멸망의 사슬에서 풀려나서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스러운 자유에 참여할 날이 왔습니다. 하느님의 모든 피조물들은 이런 참 해방을 희망하였습니다. 하느님의 모든 피조물들은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인간과 함께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기를 진정 원하고 있습니다.


+ 루카 13, 18-21

< 겨자씨는 자라서 나무가 되었다. >


해설) 하느님 나라는 겨자씨와 비슷합니다. 모래알만한 겨자씨를 밭에 심습니다. 겨자씨는 싹이 돋고 자라서 큰 나무같이 됩니다. 그래서 공중의 새들이 날아와서 그 가지에 깃들입니다. 그처럼 하느님 나라는 작게나마 이미 작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크게 작용할 것이며, 마침내 종말에 이르러서는 막강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그때에 18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하느님의 나라는 무엇과 같을까? 그것을 무엇에 비길까? 19 하느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어떤 사람이 그것을 가져다가 자기 정원에 심었다. 그랬더니 자라서 나무가 되어 하늘의 새들이 그 가지에 깃들였다.” 20 예수님께서 다시 이르셨다. “하느님의 나라를 무엇에 비길까? 21 그것은 누룩과 같다. 어떤 여자가 그것을 가져다가 밀가루 서 말 속에 집어넣었더니, 마침내 온통 부풀어 올랐다.”



+ Holy Gospel of the Jesus Christ according to Saint Luke 13:18-21

18 Jesus said, "What is the Kingdom of God like? To what can I compare it? 19 It is like a mustard seed that a man took and planted in the garden. When it was fully grown, it became a large bush and the birds of the sky dwelt in its branches." 20 Again he said, "To what shall I compare the Kingdom of God? 21 It is like yeast that a woman took and mixed in with three measures of wheat flour until the whole batch of dough was leavened."



묵상) 하느님 나라는 누룩과 비슷합니다. 누룩을 밀가루 속에 넣었더니 마침내 온 밀가루 덩이가 부풀어 오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런 누룩과 같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으로 이미 시작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더 위력을 떨칠 것이고, 마침내 종말에 이르러서는 엄청난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무슨 일이든지 자기의 힘으로 해내려고 하면 자기 능력만큼만 이룰 것입니다. 그러나 기도하고 주님께 도우심을 청하면 사람의 머리로는 계산이 되지 않는 큰 결과를 얻을 것입니다. 주님께 드리는 기도와 주님께 대한 희망과 주님께서 주시는 사랑이 이루는 결과는 밀가루에 넣은 누룩처럼 우리 삶 안에서 놀랍기만 할 것입니다.



2017년 10월 31일 화요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조창수 토마스 아퀴나스 신부


Alisa Turner - My Prayer For You (Lyrics)

겨자씨와 누룩의 비유

+ 루카 13,18-21


1. 내 마음 안에는 어떤 믿음의 씨앗이 자라고 있습니까? 과거 내 믿음은 아주 작은 겨자씨와 같았지만 나의 삶이 주님안에서 무럭무럭 자라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까? 나는 더 많은 믿음의 열매를 맺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합니까?



2. 나는 세상 속에 하느님을 알리기 위하여 어떤 누룩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까? 나의 작은 선행이 세상을 조금씩 살기 좋은 곳으로 바꾸고 있음을 체험한 적이 있습니까?




Today’s Reflection :


Romans 8:18-25 / Luke 13:18-21


In the letter to the Romans St Paul acknowledges that we do suffer in this life but he goes on to say that those sufferings are nothing compared to the glory which is to be revealed at our resurrection. That glory is in the next life and we must be patient for it will not be revealed to us in this life, though it is there for each one of us.


In the Gospel passage for today, we see Jesus talking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his message is that it is something which has the power to transform society. It may start with humble beginnings but it has the power to be a great transforming and growing force which can bring peace, beauty and shelter to our modern and often way-ward world. However, it can only grow if each member of the Church plays their role in the building up of the kingdom, otherwise the kingdom will remain very small.



Prayer :

Jesus,I know that change can take time, and that for a seed to sprout, the soil of my soul must be ready. As You work the soil and begin to move me gradually towards Your plan, give me the strength to bear any sufferings I must have and help me to see how You use these events to prepare me to sprout and grow in holiness. Amen

 

성 볼프강(Saint Wolfgang)

축 일 : 10월 31일

신 분 : 주교

활동지역 : 레겐스부르크(Regensburg)

활동년도 : 930-994년

같은이름 : 볼판고, 볼판구스


독일 남서부 풀링겐(Pfullingen)의 백작인 슈바벤(Schwaben) 가문의 후손인 성 볼프강은 어린 시절 가정에서 개인교수에게 교육을 받고 이어서 라이헤나우(Reichenau) 대수도원과 뷔르츠부르크(Wurzburg)에서 수학하였고, 그의 친구인 하인리히와 더불어 뷔르츠부르크와 트리어(Trier)의 대성당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의 친구인 하인리히가 956년에 트리어 교구의 대주교가 되자 친구의 부탁을 거절할 수 없어 학생들을 가르치며 교구 개혁과 교회 쇄신에 앞장서는 하인리히 대주교의 성실한 협력자가 되었다. 하인리히 대주교는 964년 선종하였다.


그 후 성 볼프강은 오랫동안 꿈꿔왔던 수도생활을 실천하고자 아인지델른(Einsiedeln)의 베네딕토회에 입회하였다. 그의 뛰어난 학식과 영성을 알아본 수도승들이 그의 가르침을 청하면서 성인의 명성은 곧 나라 전체로 퍼져나갔다. 968년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의 성 울다리쿠스(Uldaricus, 7월 4일)에게 사제품을 받고, 오늘날의 헝가리 지역인 판노니아(Pannonia) 지역까지 침략해 정착한 마자르족(중앙아시아 출신 유목민족)에 대한 선교활동을 하던 중 972년 레겐스부르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즉시 교구 내의 성직자와 수도원 개혁을 단행하는 한편 여러 지역을 다니며 선교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설교했으며, 특히 가난한 이들에 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교구민으로부터 ‘위대한 자선가’로 높은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그는 황제를 수행하여 프랑스를 여행하였고, 바이에른(Bayern)의 공작의 아들로 후에 신성 로마제국의 황제가 된 성 헨리쿠스 2세(Henricus II, 7월 13일) 공작의 개인교수로도 활약했다.


하지만 성 볼프강 주교를 시기한 이들의 모함으로 교구에서 물러난 그는 실망하기보다는 평소 소망했던 은수자의 삶을 살고자 한적한 곳을 찾아 떠났다. 오늘날 오스트리아의 잘츠카머구트(Salzkammergut) 지방에 있는 볼프강 호숫가에 성당을 짓고 말년을 보내고자 했다. 볼프강 호숫가에 있는 장크트볼프강(Sankt Wolfgang)이란 도시는 바로 성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성인의 상징으로 도끼가 등장하는데, 전설에 의하면 볼프강 성인이 호숫가에 성당을 지을 장소를 찾을 때 산 아래로 도끼를 던져 정했다고 한다. 그는 오스트리아 북부를 여행하던 중 병에 걸려 린츠(Linz) 교외의 푸핑겐(Puppingen)에서 선종하였다. 1052년에 교황 레오 9세(Leo IX)에 의하여 성인품에 오른 후 장크트볼프강의 성 볼프강 성당은 주요 순례지가 되었고, 1481년 화가이자 조각가인 미하엘 파허(Michael Pacher)는 성 볼프강과 성 베네딕투스 사이에서 성모 대관이 이루어지는 제단화를 제작했다. 그는 볼판구스(Wolfangus, 또는 볼판고)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홈

 


매일미사_2017년 10월31일(녹)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