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 Posts/최근글
Archive/자료
Recent Posts/지난글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RSS Feed

성 보니파시오

성 보니파시오(Saint Boniface)

축 일 : 6월 05일

신 분 : 대주교, 선교사, 순교자

활동지역 : 크레디톤(Crediton)

활동연도 : 675?-754년

같은이름 : 보니파시우스, 보니파키오, 보니파키우스, 보니파티오, 보니파티우스, 보니페이스, 빈프리트, 윈프리드, 윈프리트



성 보니파시오, 또는 보니파티우스(Bonifatius)는 675년경 영국 웨식스(Wessex)의 크레디톤의 귀족가문에서 태어나 빈프리트(Winfrid, Wynfrith)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불과 7살 때에 엑서터(Exeter)의 베네딕토 수도원 학교에 들어갔고, 14세 되던 해에는 너슬링(Nursling)의 베네딕토 수도원 학교에서 윈버트(Winbert)의 지도하에 공부하였다. 그는 너슬링의 베네딕토회에 입회하여 30세에 사제로 서품되었고, 수도원 학교의 교장이 되어 교수생활과 설교자로서의 생활이 성공하자 프리슬란트(Friesland)의 선교사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그러나 716년의 첫 번째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이렇게 되자 그는 718년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2세(Gregorius II)가 계시는 로마(Roma)로 갔으며, 여기서 교황으로부터 라인 강 동쪽에 사는 이교도들을 개종시키라는 명을 받고 길을 떠났다. 이때부터 그는 보니파시오로 개명하고 3년 동안 성 빌리브로르두스(Willibrordus, 11월 7일)를 도와 프리슬란트에서 선교사로 활약하였다. 그가 722년 가장 이교도적인 헤센(Hessen)으로 가서 아뫼네부르크에 베네딕토회 최초의 수도원을 설립하고 많은 사람에게 세례를 주는 등 선교활동의 대성공을 거두게 되자, 교황은 보니파시오를 로마로 불러들여 주교로 서품하고 교회 법령집과 독일의 모든 수도자들과 관리들에게 보내는 추천서를 써주었다. 이 서한은 그의 독일 선교 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프랑크 왕국의 재상인 카를마르텔(Karl Martell)의 보호를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보니파시오는 카를마르텔의 보호를 받으며 723년부터 725년까지 제2차 헤센 선교에 나섰는데, 이때 그는 가이스마르(Geismar)에서 이교도들이 신성시하는 떡갈나무를 베어 경당을 짓는 데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 사건을 계기로 개종자들이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후 그는 튀링겐(Thuringen)에 가서 오르트루프(Ohrdruf)에 수도원을 세웠고, 영국의 수도자들을 독일의 선교사로 파견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그는 여러 곳에 수도원을 세웠다. 744년에 그와 성 스투르미우스(Sturmius, 12월 17일)는 풀다(Fulda)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 수도원은 몇 년 지나지 않아서 북유럽에서 가장 큰 중심 수도원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그는 독일과 프랑크의 교황대사로 임명되었고, 피핀을 프랑크의 유일한 통치자로 세우는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성 보니파시오는 754년에 마인츠(Mainz)의 대주교직을 사임하고 성 빌리브로르두스의 사후 이방 관습에 다시 떨어진 프리슬란트를 재건하는데 여생을 바쳤다. 그가 프리슬란트의 도쿰(Dokkum) 근처 보르네 강변에서 개종자들에게 견진성사를 주려고 준비하던 중에 이교도들의 급습을 받아 살해되었다. '게르만족의 사도' 또는 '독일의 사도'로 불리는 그의 축일은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74년부터 전 교회에서 기념하고 있다


출처 : 가톨릭 홈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기념


673년경 영국에서 태어났다. 엑시터 수도원에서 수도자가 되어, 719년 독일에 가 신앙을 전파하기 시작했고 큰 성과를 거두었다. 마인츠의 주교로 축성된 후 동료들과 함께 바바리아, 튀링겐, 프랑크 지방에 많은 교회를 세우고 재건하였다. 여러 공의회를 주관했고 많은 법을 공포했다. 프리스 지방에 전교하던 중 754년 그 곳 주민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의 유해는 풀다 수도원에 안치되어 있다.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의 편지에서

(Ep. 78: MGH, Epistolae, 3,352. 354)



그리스도의 양 떼를 지키는 충실한 목자


교회는 세상이라는 바다를 항해하면서 이 현세 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유혹의 물결에 시달리는 큰 배와 같습니다. 이 배는 포기할 수 없고 어떠한 환경에서라도 꾸준히 조종해야 합니다. 이렇게 한 예로서 로마의 클레멘스와 고르넬리오와 다른 교황들, 카르타고의 치프리아노와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 등과 같은 과거의 교부들을 들 수 있습니다. 그들은 외교인 황제들의 치하에서 그리스도의 배, 즉 그리스도께서 사랑하시는 정배인 교회를 가르치고 보호하며, 교회를 위해 수고하고, 피를 흘리기까지 인내하면서 교회를 이끌어 나갔습니다.


이분들의 모범과 이와 같은 다른 분들의 모범을 생각해 볼 때 나는 두려움으로 가득 찹니다. "두려움과 무서움이 나를 덮치고, 내 죄의 어둠이 나를 뒤덮을 뻔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교부들과 성서에서 이와 같은 선례를 찾을 수만 있었다면 교회의 행정 직책을 기꺼이 내놓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정이 이렇게 하는 것을 허락치 않고 또 진리는 진력날 수 있지만 패배당하거나 기만당할 수 없기에, 내 지친 영혼은 솔로몬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분께로 피신합니다. "마음을 다하여 주님을 신뢰하고 네 자신의 명철에 의지하지 말라. 무슨 일을 하든지 그분을 생각하라. 그러면 그가 네 앞길을 곧바로 열어 주시리라." 또 어디선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주님의 이름은 튼튼한 성루, 무죄한 사람에게 안전한 피신처가 되리라."


옳은 일을 행하는 데 굳건한 자세를 취하고 유혹을 막을 수 있도록 영혼을 준비시킵시다. 그러면 우리가 하느님의 힘으로 저항하면서 그분께 다음과 같이 말씀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주여, 당신은 대대로 우리의 피난처가 되시었나이다." 우리 힘만으로는 질 수 없는 이 짐은 주님께서 지어 주신 짐이기에 주님을 신뢰하고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라고 말씀하신 분의 도움을 빌어 지도록 합시다. 고통과 고뇌의 날들이 우리에게 닥쳐온 이때, 주님의 날이 임할 때까지 굳건한 자세로 전투에 임합시다. 우리 선조들과 함께 영원한 유산을 나누어 받을 수 있도록 그들의 거룩한 법을 수호하기 위해 하느님의 뜻이라면 죽음까지 불사합시다.


짖지 못하는 개가 되거나 말 못하는 양지기가 되지 맙시다. 늑대가 가까이 올 때 도망쳐 버리는 삯꾼이 되지 말고, 그리스도의 양 떼를 지키는 충실한 목자가 됩시다. 성 그레고리오께서 당신의 [사목 지침서]에서 제시하신 것과 같이,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능력을 주시는 한, 잘난 사람에게나 못난 사람에게나 가난한 이에게나 부자에게나 모든 계층과 연령의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가 좋든지 나쁘든지" 하느님의 온갖 뜻을 꾸준히 전파하도록 합시다.


 

성 보니파시오 대주교



독일의 수호성인 - 축일은 6월 5일


성 보니파시오 대주교 순교자는 680년 영국의 데본에서 출생했다. 그는 13살 되던 해에 액세터에 있는 베네딕또 수도원에 들어가 그곳에서 교육을 받고 사제로 서품됐다.그 후 이교 지방이며 전교에 위험이 뒤따르는 독일에 전교할 것을 결심, 교황의 재가를 얻기 위해 로마로 갔다. 교황의 재가를 얻은 보니파시오는 독일로 건너가 그들이 받드는 우상을 파괴하고 그곳에다 교회를 지어 전교 활동을 시작했다.


한 번은 사람들이 우상으로 숭배하고 있는 쥬피터 신에게 봉헌한 아주 큰 참나무를 송두리째 잘라 버리고 그 나무로 교회를 지어 성 베드로께 봉헌했다.이러한 공적을 교황으로부터 인정받은 보니파시오는 로마로 불림을 받아 주교로 서품됐으며 독일의 교세를 확장하고 교회를 건설하라는 명을 받고 다시 독일로 돌아갔다.


그 후 독일에 많은 교구와 수도회를 설립한 그는 745년 마인즈 교구를 자신의 교구로 선택했다. 이후 그는 네델란드에 있는 이교도 종족을 개종시키는 일에 착수했다.


그러나 보니파시오는 그곳에서 새로 영세한 이들에게 견진성사를 주기 위해 기다리다가 이교도 군대의 습격을 받았다. 이들의 습격을 받은 보니파시오 수행원들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했으나 보니파시오는 피를 흘리지 말 것을 간곡히 호소하고 일행 52명과 함께 장렬히 순교의 길을 택했다.


성 보니파시오 대주교 순교자는 독일의 수호성인이며 축일은 6월 5일이다.

[가톨릭신문, 1983년 6월 5일]


 

[성화 속 성인 이야기]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이교신앙의 상징인 떡깔나무를 자르는 성 보니파시오, 1737, 성 마르틴 성당 천장 프레스코화, Westenhofen,독일



6월에는 한국인이라면 도저히 잊을 수 없는 민족 최대의 비극인 6.25 전쟁이 있었다. 이 3년여의 전쟁기간에 수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어야 했는데 한국 천주교회도 세 분의 주교와 60여명의 사제 수도자 그리고 수많은 평신도 순교자들이 희생 되었다. 그런데 이 박해는 전쟁 기간은 물론 그 이전에 북한 지역에서 이미 시작되었는데, 이때에 희생되신 분들을 현재 한국 천주교회와 성 베네딕토회에서 시복을 준비하고 있다.


이때에 희생되신 세 분의 주교님 중 함흥교구장과 덕원수도원 면속구장을 맡으셨던 보니파시오 사우어 주교 아빠스가 계신다. 그는 자신의 고국 독일의 복음화를 위해 혼신을 다하고 피까지 흘리신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의 성인처럼 한국의 복음화를 위해 40여 년간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치시고 순교하셨다. 따라서 이 6월호에는 사우어 주교님이 본받고 따랐던 독일 복음화의 사도 성 보니파시오가 어떠한 분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보니파시오 성인은 675년 잉글랜드 크레디톤의 한 귀족가문에서 태어나 빈프리트란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7살 때 엑서터 베네딕토 수도원에서 운영하는 부설학교에 들어가 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14살 되던 해에는 정식으로 너슬링의 베네딕토 수도회에 입회하였다. 당시 그를 지도한 수도자들의 평에 따르면 빈프리트는 탁월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내면의 평화와 온화한 성품을 겸비한 출중한 학생이었다고 한다. 그는 신학과정을 이수하는 중에 특별히 라틴어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 후일 라틴어 문법 교사가 되어 라틴어로 된 여러 논문과 시(詩)를 작성하였다.


715년 30세에 사제로 서품되고 베네딕토 수도원 부설 학교의 교수로서, 출중한 설교자로 명성을 날렸고, 이후 교장이 되어 더 큰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는 선교사로서의 꿈을 오랫동안 간직해왔기에 41살 되던 716년 몇 명의 동료들로 선교단을 꾸며 프리슬란트(오늘날의 네덜란드) 지방으로 선교를 떠났다. 그러나 그들 앞에 놓인 현실은 결코 호의적이지 않았다. 그 지방 세력가들과 관리들의 노골적인 냉대에 시달리며 그가 계획했던 복음 선포 사업을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 그는 큰 좌절감을 안고 영국으로 돌아와야만 했다.



첫 번째 선교 실패를 거울삼아 독일에서 선교 대성공


그러나 그는 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 철저하게 점검했고, 주도면밀하게 계획을 세우고 다시 한 번 자신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선교 성소를 향한 불씨를 활활 되살렸다. 2년간 재정비를 완료한 그는 로마로 가서 그레고리오 2세 교황님을 알현하여 독일에서 선교사로서의 활동을 허가하는 교황 특별 공식 서한을 받았다.


동시에 교황으로부터 또 다른 선물을 받았는데 그것은 바로 새로운 이름, 보니파시오(Bonifacio)였다. 마치 아브람이 아브라함으로, 사울이 바오로라는 이름을 받았듯이 빈프리트는 보니파시오로 새로 태어난 것이다.


이렇듯 든든한 교황님의 후원을 얻고 이교도들의 그릇된 문화, 비인간적, 비 그리스도교적 생활방식과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면서 보니파시오는 복음 선포에 매진하였다. 그의 새로운 선교방식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가장 이교도적인 생활로 유명했던 헤센 지방의 아뫼네부르크에 베네딕토 수도원을 설립하고 수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다. 그리고 여러 지역에 수많은 베네딕토 수도원을 세웠다.


교황은 보니파시오의 이러한 공적을 인정하여 722년 그를 로마로 불러 독일 지역의 주교로 서품하고 독일의 교세를 더욱 확장하고 교회를 건설하라는 명을 내려 다시 독일로 돌아가 선교활동을 계속하게 하였다. 이때 교황은 교회 법령집과 독일의 모든 수도자들과 관리들에게 보내는 추천서도 써주었다. 이 서한은 그의 독일 선교 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프랑크 왕국의 카를마르텔(Karl Martell)의 보호를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교도가 신성시하는 떡갈나무 베어 그 나무로 교회 지어



보니파시오는 카를마르텔의 보호를 받으며 723년부터 725년까지 제2차 헤센 선교에 나섰는데, 이때 그는 가이스마르(Geismar)에서 이교도들이 신성시하는 떡갈나무를 베어 그 나무로 교회를 지어 성 베드로께 봉헌했다. 그런데 이 사건을 계기로 개종자들이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후 그는 튀링겐(Thuringen)에 가서 오르트루프(Ohrdruf)에 수도원을 세웠고, 영국의 수도자들을 독일의 선교사로 파견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그는 여러 곳에 수도원을 세웠다. 744년에 그와 성 스투르미우스(Sturmius, 12월17일)는 풀다(Fulda)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 수도원은 몇 년 지나지 않아서 북유럽에서 가장 큰 중심 수도원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그는 독일과 프랑크의 교황대사로 임명되었고, 피핀을 프랑크의 유일한 통치자로 세우는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보니파시오는 745년 마인즈 교구를 독일 선교의 중심지로 삼고 자신의 주교좌 교구로 선택하여 이교도들을 회심시키며 오늘날 독일지역을 복음화 해나갔다. 754년 79세 되던 해에 마인츠(Mainz)의 대주교직을 사임하고 성 빌리브로르두스의 사후 이방 관습에 다시 떨어진 프리슬란트를 재건하는데 여생을 바쳤다.


그가 프리슬란트의 도쿰(Dokkum) 근처 보르네 강변에서 개종자들에게 견진성사를 주려고 준비하던 중에 이교도들의 급습을 받았다. 보니파시오의 수행원들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했으나 보니파시오는 피를 흘리지 말 것을 간곡히 호소하고 일행 52명과 함께 장렬히 순교의 길을 택했다.


‘게르만족의 사도’ 또는 ‘독일의 사도’로 불리는 그의 축일은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74년부터 전 교회에서 기념하고 있으며, 축일은 6월 5일이다. [월간 레지오 마리애, 2015년 6월호, 장긍선 예로니모 신부(서울대교구 이콘연구소)]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421-424쪽.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5권 - '보니파시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7년, 3437-3439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서울(성바오로), 2002년, 134-136쪽.




EndFragment

bottom of page